본문 바로가기

DEV

[C++] using namespace std ? using namespace std;이 구문을 쓰는 이유는 cout 이라는 명령어가 namespace std 안에 선언되어 있기때문에 그것과 동일하게 namespace 를 지정해 줘야 사용이 가능해진다. namespace 란 ?변수들의 방(?) 이라는 표현이 적절할 것 같다. 똑같은 변수라도 namespace 가 다르면 다른 변수로 취급을 받는다. namespace A 안의 int number; 과 namespace B 안의 int number; 은 다른 변수로 취급한다. 보통 변수명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더보기
[C++] #include<xxxx> 의 의미 ? #include 의 의미. # = 전처리 명령 include = 이후에 올 파일을 포함시키겠다. iostream = 라이브러리의 일종. 스트림을 이용해 입출력 기능을 제공한다. Input Ouput STREAM 의 약자. 전체적으로 보면 #include 의 의미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전에 iostream 이라는 스트림을 통한 입출력 라이브러리를 먼저 불러와서 소스에 포함시키겠다 라는 뜻이다. C/C++ 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수많은 라이브러리들이 있으며 그중에 iostream 이라는 것이 있는것이다. iostream 은 cin, cout, cerr, clog 등을 포함하며 코드에 해당 명령어들을 실행 시킬수 있도록 준비 시킨다. 출력할때 cout 을 쓰고 싶으면 iostream 을 include 시켜야 .. 더보기
[C++] Hello World 코드의 목적언제나 그렇듯 모든 랭귀지의 첫걸음은 Hello World 출력이다. 그것은 진리. 코드#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cout 더보기
[C++] 우분투에 g++ 설치하기. 목표우분투에 c++ 컴파일러인 g++ 설치. 설치하는 이유오늘부터 C++ 을 공부하려고 한다. 아무 오픈되어있는 소스를 가져다가 분석하고 따라하고 바꿔보고..OS 는 우분투 14.04 로 하고 컴파일러는 g++ 을 이용한다. g++ 의 설치방법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개발공부할 준비는 다 끝났다. 더보기
Linux 보안강화를 위한 데이터 암호화. 리눅스를 서버로 사용하다 보면 외부의 엄청난 침입 시도를 종종 발견하게 된다. 그래서 혹시나 내가 관리하지 못해서 서버가 뚫리고 내가 개인적으로 저장해놓거나 중요한 문서들을 침입자들이 강제로 가져가는 상황이 무섭다. 그래서 파일의 암호화를 찾던 도중 나름 쓰기도 좋고 보안도 우수한 방법을 찾게 되었다. "cryptsetup"이라는 툴이다. cryptsetup 은 LUKS 로 디스크를 암호화 해준다. LUKS 는 리눅스디스크 암호화 시키는 표준이며 DM-Crypt 를 기반으로 암호화를 시켜준다. DM-Crypt 는 DM (Device Mapper) 을 기반으로 커널의 Crypto-API 를 사용해 디스크를 암호화 시킨다. 내가 이 방식을 좋아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커널수준의 암호화 방식이기 때문에 마운트.. 더보기
Vi 에서 자동으로 주석삽입이 되는경우. 요즘 서버를 설치하고 vim 을 사용하다 보면주석 이후에 그냥 엔터를 치면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더라도자동으로 주석처리가 된다 옵션명끄기.: set formatoptions-=r 켜기. : set formatoptions+=r 더보기
Linux 자동 로그아웃 해제. ssh 로 서버 연결후 작업을 하다 점심을 먹고 오면 종종 자동 로그아웃이 되는 경우가 있다. 작업중인데 자동 로그아웃되버리면 짜증이 넘친다. 해결방법. 1. /etc/ssh/sshd_config 파일의 설정 해제.: ClientAliveInterval: ClientAliveCountMax 저 두 값을 주석처리 2. /etc/bashrc 파일의 설정해제: TMOUT 저 값을 주석처리하라. 더보기
Syntax Highlighter 를 블로그에 글을 쓸때 적용시키는 방법. Syntax Highlighter 를 tistory 블로그에 적용시키는 방법은 무척 까다롭다.이유는? 블로그 글쓰기에서 직접 적용할수 있도록 플러그인 형태로 지원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적용을 시켜주어야 한다.그러면 html 모드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데 테그를 일일이 써가며 글을 쓰는건 귀찮다!! 내가 해결한 방법?우선은 글을 그냥 쓰다가 코드가 들어갈 부분을 따로 마킹을 한다. --naoeno_01--이런형태로 마킹을 한후에 따로 메모장에 마킹별로 정리해둔 코드에 syntaxhighlighter 를 적용한후에 블로그에 복붙.글을 쓸땐 위지윅모드로.syntaxhighlighter 을 적용시키는 방법은. {코드내용} 워드프레스처럼 플러그인 형태로 지원이 돼면 정말 좋겠네. 더보기
윈도우10 Pro 구매후 적용시킨내용. 1. 관리자 계정으로 초기에 설정하기. - 설치 중 사용자 계정 생성화면에서 Shift + F10 을 누른후 CMD 창에서 다음 내용을 입력 $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yes $ tskill msoobe 2. 윈도우10 에선 관리자 모드에서 일반사용자처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옵션이 있는데 그 옵션을 제거. : 제어판 -> 관리도구 -> 로컬 보안 정책 -> 로컬 정책 -> 보안옵션 -> 사용자계정 컨트롤 : 기본 제공 관리자 계정에 대한 관리자 승인모드 -> 사용 해당 설정후 재부팅. 저 두가지를 완료하면 Administrator 계정을 바로 활성화 시키고 일반 계정+ 관리자 계정 상태로 사용할수 있다. 더보기